아래 명령어를 순서대로 사용하자.
(혹시 명령어를 사용했는데 오류가 뜬다면, sudo를 붙여보자.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 참고)
https://how-can-i.tistory.com/46
[Linux error] Could not open lock file /var/lib/apt/lists/lock
에러 발생 SSH 서버에 대한 설정을 할 때, ROOT 계정으로 SSH 접속 할 수 있도록 설정 하는 중에 오류가 생겨 강제 종료를 했다. 리부팅 후, 다시 설정을 하려고 하니 해당 오류가 발생했다. apt update -
how-can-i.tistory.com
https://how-can-i.tistory.com/47
[Linux error] Not all processes could be identified non-owned process info..
에러 발생 SSH 서버에 대한 설정을 한 후,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보여야 할 PID(아래 이미지 연두색 부분)가 보이지 않는다. 왜 안나오나 했는데 위를 보니 에러 메시지가 있었다. netstat -tnlp 명령어
how-can-i.tistory.com
① apt update -y
: 우분투 설치 후 apt package manager 처음 사용할 때, 업데이트 해주는 것
② apt-get install openssh-server
: openssh-server를 설치
③ systemctl start ssh 또는 service ssh start
- 3번은 설치 완료 후 실행하는 명령어인데,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을 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한다.
systemctl start openssh-server 또는 service openssh-server start
④ netstat -tnlp
: Program name이 22번 포트를 통해 sshd로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행
모든 명령어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을 시, 초록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
⑤ sudo vi /etc/ssh/sshd_config
: Root 계정으로 SSH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
sudo를 붙이지 않으면 저장할 수 없다고 뜬다.
⑥ 연두색 글자에 해당하는 아이들을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.
#PermitRootLogin prohibit-password → PermitRootLogin yes
(주석 "#" 제거, 옵션값 yes로 수정)
#PasswrodAuthentication yes → PasswordAuthentication yes
(주석 "#" 제거)
그 뒤로 Ctrl + c인가 Ctrl + z를 누르면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되는데, 이 때 :w 또는 :w!로 저장한다
나오려면 :qa 또는 :qa!
⑦ systemctl restart ssh 또는 systemctl restart openssh-server
: ssh server를 재시작
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실패한 것이 초록 글씨, 성공한 것이 노란 글씨
⑧ ifconfig
: 내 IP 확인
노란 글씨가 내 IP이다. 이 IP에 SSH로 접속을 시도해 보자.
⑨ ssh ____@_____
: 앞에는 server 이름이나 name 중 하나, 뒤에는 위에서 찾은 아이피
나는 처음 시작 시 server이름도 name, name도 name으로 해둬서 분간이 안간다.
내가 사용한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.
ssh name@192.168.59.128
[Linux] Ubuntu 18.04 SSH서버 구축하기 및 SSH Root 계정 접속 설정 (Ubuntu OpenSSH Server)
우분투 설치 후 apt package manager를 처음사용한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update를 해줍니다. apt update -y 그 후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openssh-server를 설치하도록 합니다. apt-get install openssh-serve..
antdev.tistory.com
위 블로그를 따라 설정/실습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.
더 구체적인 내용(PuTTY를 이용한 SSH 접속 등)을 확인할 수 있으니 들어가서 직접 확인하자.
[Linux] Ubuntu 18.04 FTP 구축하기 및 vsftpd(FTP) Root 접속 및 파일 전송 설정 활성화하기 (Ubuntu vsftpd 설��
우분투 설치 후 apt package manager를 처음사용한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update를 해줍니다. apt update -y 그 후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openssh-server를 설치하도록 합니다. apt-get install vsftpd 설치..
antdev.tistory.com
또한 위 포스팅은 같은 블로그로, FTP 구축하고 접속/파일 전송 설정 활성화 하는 법에 대한 내용이다.
필요할 경우 참고하자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CLI와 file&directory 관련 명령어 알아보기 (0) | 2020.06.25 |
---|---|
[Linux error] E:45 'readonly' option is set (add ! override) (0) | 2020.06.20 |
[Linux error] Not all processes could be identified non-owned process info.. (3) | 2020.06.20 |
[Linux error] Could not open lock file /var/lib/apt/lists/lock (0) | 2020.06.19 |
[Linux Ubuntu] 명령어로/명령어 없이 리눅스 강제 종료 및 재부팅 하는 법 (0) | 2020.06.19 |